04. 클러스터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생성
·
DevOps/쿠버네티스
웹 서비스를 배포하게 되면, 필수로 사용하게되는 것이 데이터 베이스이다.여러 데이터 베이스들이 있지만, 회사에서 주로 사용했던 데이터베이스가 오라클이기도 하고고성능 트랜잭션 처리를 지원해서 비용이 높다고는 하지만서버성능에도 딱히 문제가 없을 것같아 오라클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보고자 한다. 1.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도커 이미지 생성일반적인 도커 허브에서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이미지가 존재하긴 하지만, 대체로 11 버전이다.아무래도 11 버전은 출시한지 거의 17년이 넘었기도 하고 최신 버전을 지원하는데 굳이 옛날 버전을 사용할 이유가 없을 것 같아서 21버전을 설치해보려고 한다. 하지만, 도커 허브에서는 21 버전의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이미지를 찾을 수 없었다. 그렇게 찾다보니 오라클 깃허브에서 도커이미지를..
03. 쿠버네티스 설정
·
DevOps/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기전 필수는 아니지만, 내 기준으로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몇가지가 존재한다. nfs-provisoner 설치도커를 공부하다보면 제일 헷갈렸던 것이 바로 볼륨이다. 볼륨의 종류는 bind mount, docker volume, 등등 여러가지가 존재하고 쿠버네티스 또한 이러한 볼륨에 대한 여러가지 타입이 존재한다. 하지만 이 중 가장 간편한 nfs를 통한 볼륨 관리 도구를 설치해보려 한다. nfs-server 생성nfs 를 사용하려면 nfs 서버가 존재하여야 한다.먼저, 아래 명령을 통해 nfs-kernel-server를 설치한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nfs-kernel-server  그 다음, nfs 에서 사용할 data 폴더를 만들..
02.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생성
·
DevOps/쿠버네티스
이제 쿠버네티스가 무엇인지는 알았으니,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생성해보자! 컨테이너 런타임 설치쿠버네티스는 앞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및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당연히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런타임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컨테이너를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Docker가 있을 것이고, Containerd, Podman, CRI-O 등이 존재한다.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컨테이너 런타임을 사용하기에, 해당 컨테이너 런타임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다. 이렇게 많은 컨테이너 런타임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동작한다면, 쿠버네티스는 이렇게 많은 컨테이너 런타임들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부담이 생길 것이다..
01.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
DevOps/쿠버네티스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쿠버네티스(Kubernetes )는 K8s라고도 불리며,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하는 오픈 소스 시스템입니다. 즉, 쿠버네티스란 배포, 확장, 관리를 자동화해주는 시스템이다. k8s 라고도 불리는 이유는 K와 s사이에 (ubernete)라는 글자가 8개 있어서 k8s 라고 부른다고도 한다. 아무튼, 쿠버네티스란 개발자에게 숙명인 배포와 관리등을 아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용한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 쿠버네티스가 제공하는 기능들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바란다.컨테이너란 무엇인가?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한다고 했는데, 컨테이너란 무엇일까? 우리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때를 생각해보자. 인터넷에서 받은 Spring Boot 프..